자동차보험 사고 시 200만원 초과 피해가 발생하면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할증 기준은 사고 내용에 따른 ‘사고점수’와 사고 발생 횟수를 반영하는 ‘사고건수 요율’ 두 가지로 나뉩니다. 사고점수는 대인, 자기신체, 물적사고 등 피해 유형별 점수를 합산해 산정하며, 1점당 1등급씩 보험료가 올라갑니다. 또한 사고건수는 최근 3년 내 사고 횟수에 따라 추가 할증이 적용되므로, 사고 처리 시 보험료 변동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00만원 초과 사고만 등급 할증 대상이며, 사고점수 1점당 1등급 할증
– 사고점수는 대인(1~4점), 자기신체(1점), 물적사고(0.5~1점) 합산
– 사고건수 요율은 3년간 적용, 1년 내 사고 시 약 24% 할증 추가
– 과실 피해자는 등급 할증 없으나 사고건수 할증은 일부 반영
– 보험료 할증은 최대 3년간 지속되므로 사고 처리 전 비용과 할증 효과 비교 필수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이해하기
자동차보험 등급 구조와 의미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은 1등급부터 29등급까지 존재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보험료 할인이 커집니다. 29등급은 최상의 무사고 등급으로, 반대로 1등급은 사고가 잦아 보험료가 크게 할증되는 상태입니다. 보험 가입 시에는 중간 등급인 11Z부터 시작하며, 사고 발생 여부와 무사고 유지 기간에 따라 등급이 변동합니다.
등급별 할인·할증 적용률 표
등급 | 개인용 | 영업용 | 이륜차 |
---|---|---|---|
01(Z) | 200% | 200% | 200% |
02(Z) | 178% | 178% | 162% |
03(Z) | 162% | 162% | 162% |
04(Z) | 140% | 142% | 140% |
05(Z) | 134% | 134% | 134% |
06(Z) | 120% | 122% | 120% |
07(Z) | 111% | 109% | 110% |
08(Z) | 100% | 95% | 100% |
09(Z) | 90% | 92% | 90% |
10(Z) | 85% | 89% | 85% |
11(Z) | 81% | 82% | 92% |
12(Z) | 71% | 69% | 73% |
13(Z) | 64% | 64% | 60% |
14(Z) | 58% | 61% | 59% |
15(Z) | 57% | 57% | 59% |
16(Z) | 54% | 54% | 53% |
17(Z) | 47% | 49% | 47% |
18(Z) | 46% | 45% | 47% |
19(Z) | 46% | 44% | 41% |
20(Z) | 43% | 41% | 40% |
21(Z) | 41% | 40% | 40% |
22(Z) | 41% | 40% | 39% |
23(Z) | 40% | 38% | 39% |
24(Z) | 34% | 36% | 34% |
25(Z) | 34% | 34% | 33% |
26(Z) | 34% | 33% | 32% |
27(Z) | 34% | 32% | 32% |
28(Z) | 30% | 31% | 30% |
29(Z,P) | 30% | 30% | 30% |
* 출처: MG손해보험 (https://mggeneralins.com)
무사고 갱신과 등급 상승
보험 가입 후 1년간 무사고 시 1등급씩 상승하며, 등급이 높아질수록 보험료 할인이 커집니다. 예를 들어 11Z에서 12Z로 올라가면 약 1~5% 추가 할인이 적용됩니다. 반대로 사고 발생 시에는 사고 점수만큼 등급이 하락해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사고점수 산정과 할증 기준
사고점수란 무엇인가
사고점수는 사고 처리 건별로 산출하는 점수로, 대인사고, 자기신체사고, 물적사고 3가지 항목의 점수를 합산해 결정됩니다. 대인사고는 1~4점, 자기신체사고는 1점, 물적사고는 0.5~1점으로 평가하며, 총점에 따라 보험료 등급이 조정됩니다.
사고점수별 등급 할증 규칙
사고점수 1점당 1등급씩 보험료 할증이 적용되며, 200만원 이하 사고는 점수가 0.5점 미만으로 간주되어 등급 할증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200만원 이하 사고도 무사고 할인 혜택은 사라지고 단기 사고건수 할증이 발생합니다.
사고점수 산정 예시
사고 유형 | 점수 기준 | 예시 점수 |
---|---|---|
대인사고 | 부상 등급에 따라 1~4점 | 8급 부상: 2점 |
자기신체사고 | 모든 사고 1점 | 1점 |
물적사고 | 200만원 초과 시 1점, 이하 0.5점 | 300만원 손해: 1점 |
예를 들어, 대인사고 2점과 물적사고 1점이 합산되면 총 3점이지만, 최초 1점은 제외해 실제 할증은 2등급 상승으로 계산됩니다.
사고건수 요율과 보험료 영향
사고건수 요율 정의
사고건수 요율은 최근 3년 내 발생한 사고 건수에 따라 추가로 보험료 할증이 이루어지는 요소입니다. 사고점수와 별도로 산정되며, 사고가 많을수록 보험료 할증률도 상승합니다.
사고건수별 할증 비율
사고 발생 시점 | 할증률 (예상) |
---|---|
1년 이내 사고 1건 | 약 24% |
2년 전 사고 1건 | 약 10% |
3년 내 사고 2건 이상 | 20~30% 이상 |
할증 기간과 보험료 부담
사고건수 할증은 3년간 유지되며, 첫 해에는 약 40%까지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무사고 등급 상승이 지연되고 추가 할증이 붙어 장기간 보험료 부담이 커집니다. 따라서 보험금 청구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험료 할증 실제 계산 예시
기본 상황 설정
직전년도 보험료가 100만원이고, 200만원 초과 사고로 사고점수 1점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합니다. 사고 후 등급은 11Z에서 10Z로 하락하며, 약 5% 보험료 할증이 기본입니다.
할증 요소별 영향
- 무사고 할인 10% 상실
- 사고건수 요율 첫 해 24% 할증 추가
- 등급 하락에 따른 5% 할증
이를 모두 합산하면 첫 해 보험료는 약 140만원으로 약 40%가 상승합니다.
장기 할증 영향
이후 3년간 사고건수 할증(10~25%)이 지속되며 무사고 등급 회복도 지연됩니다. 예를 들어 첫 해 140만원, 둘째 해 약 125만원 수준의 보험료 부담이 예상됩니다.
과실 비율과 보험료 할증 관계
가해자와 피해자 구분
과실 비율에 따라 보험료 할증 영향이 다릅니다. 피해자일 경우 할인할증등급에는 영향이 없으나 사고건수 요율에는 일부 할증이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피해자의 사고건수 할증은 1년차 24%가 아닌 2년차 10% 수준으로 경감됩니다.
과실 반영 사례
예를 들어, 피해자가 30% 과실이 있어도 등급 하락은 없고 사고건수 할증만 적용되므로, 보험료 상승 폭이 가해자보다 적습니다. 이는 보험료 할증 부담을 크게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과실비율 확인 필요성
따라서 사고 처리 시 정확한 과실비율 산정과 보험사 통보가 매우 중요하며, 과실비율에 따른 보험료 영향까지 고려해야 합리적인 사고 대응이 가능합니다.
자동차보험 사고 할증 요약 및 팁
– 200만원 이하 사고는 등급 할증 대상 아님, 단기 사고건수 할증은 발생
– 사고점수 산정 시 대인사고 중 가장 중상해 급수를 기준으로 점수 적용
– 사고건수 할증은 최대 3년간 지속되어 보험료 부담 장기화 유발
– 보험금 청구 전 수리비 대비 할증비용을 반드시 비교해야 손해 방지 가능
– 환입 제도를 활용해 사고 기록을 없애는 방법도 고려 가능
– 과실 피해자의 보험료 할증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음
– 무사고 유지 시 등급 상승으로 보험료 할인 효과 누릴 수 있음
항목 | 내용 | 할증 기준 |
---|---|---|
사고점수 | 대인, 자기신체, 물적사고 점수 합산 | 1점당 1등급 하락 |
할증기준금액 | 200만원 초과 사고만 등급 할증 적용 | 200만원 초과 |
사고건수 요율 | 최근 3년 내 사고 횟수별 할증 | 최대 24% (1년 이내 사고 1건) |
무사고 할인 | 1년 무사고 시 1등급 상승 | 무사고 유지 조건 |
과실비율 | 피해자는 등급 할증 제외, 사고건수 할증 일부 적용 | 과실 비율 산정 |
자주 묻는 질문 (FAQ)
사고 점수 1점은 어떤 사고를 의미하나요?
대인사고 경상 1~2급 부상, 자기신체사고, 또는 물적사고 200만원 초과 시 각 1점으로 산정됩니다. 점수가 1점일 경우 보험 등급이 1단계 내려가 할증이 적용됩니다.
200만원 이하 사고는 보험료 할증이 없나요?
200만원 이하 사고는 등급 할증이 없지만, 무사고 할인이 사라지고 사고건수 할증이 단기간 적용됩니다. 따라서 완전 무사고 상태보다는 보험료가 소폭 상승할 수 있습니다.
사고건수 할증은 얼마나 지속되나요?
사고건수 할증은 마지막 사고 발생 후 최대 3년간 유지됩니다. 사고가 많을수록 할증률도 증가하며, 보험료 부담이 장기간 이어집니다.
과실 피해자의 보험료 할증은 어떻게 되나요?
피해자는 할인할증등급 변동은 없으나, 사고건수 할증 일부가 적용됩니다. 일반 가해자보다 할증률이 낮아 보험료 상승 폭이 적은 편입니다.
보험료 할증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보험금 환입 제도를 통해 사고 기록을 없애거나, 사고 처리 전 수리비와 할증 비용을 비교해 보험 청구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방법입니다.